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워싱턴DC 자치권 취소 법안 추진

연방의회에 워싱턴DC의 자치행정권을 박탈하는 법안이 상정됐다.   뮤리엘 바우저 워싱턴DC 시장의 이름을 딴 이 법안은 워싱턴DC의 자치행정권을 박탈하고 연방정부 직할 통치가 가능하도록  했다.   마이크 리(공화, 유타) 연방상원의원과 앤디 오그레스(공화, 테네시) 연방하원의원이 양원에 각각 상정한 법안에 따르면  워싱턴DC 자치권한이 전면 회수된다.     회수 주체는 연방하원의회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2년 동안 수차례 “더럽고 추잡한 이 도시 지배권을 뺏어오겠다”고 공언한 바 있다.   워싱턴DC는 주가 아니라 연방정부와 연방의회의 직할령이기 때문에 연방정부의 의지에 따라 충분히 지배권 혹은 자치권을 회수할 수 있다.     워싱턴DC는 시의회를 두고 있으나 주요 법안의 경우 연방하원의회의 승인을 얻도록 하고 있어, 총독직할령 같은 행정구역에 불과하다.   실제로 엘라니 홈즈 노턴(민주) 연방하원대의원은 “트럼프 대통령 2기에는 워싱턴DC 자치권을 완전 박탈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면서 “주정부로 승격되기 위한 노력을 배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미 연방상하원의회가 모두 공화당 다수당 체제를 갖춘만큼 맘만 먹으면 실행가능한 시나리오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기 행정부 당시 워싱턴DC가 군사퍼레이드 개최에 협조하지 않아 상당한 마찰을 빚은 바 있다. 2020년 BLK(흑인의 생명도 소중하다) 시위가 발생했을 때에는 주방위군 지휘권을 몰수하려 한 적도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심지어 “워싱턴DC가 쥐와 노숙자로 들끓는 곳”이라고 수시로 폄훼 해왔다. 뮤리엘 바우저 워싱턴DC 시장은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계략에 맞서 대비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 진영에서는 워싱턴DC의 근간을 무너뜨려야 한다는 주장이 이어지고 있다.     지난 대선에서 트럼프 당선자는 워싱턴DC에서 6.6% 득표율에 그쳤으나 해리스는 92.5%를 득표했다.   워싱턴DC 내 연방정부 부처를 공화당 지지 지역으로 보내려는 ‘프로젝트 2025’ 또한 바우저 시장과의 악연 때문에 입안됐다는 것이 정설로 굳어지고 있다.   트럼프 당선자 진영에서는 취임 직후 연방의회 내에 워싱턴DC예산통제위원회를 구성해 주요 예산 병기 법안을 전면 금지시킬 것이라는 예상이 나오고 이다. 이 위원회는 빌 클린턴 행정부 당시 가동됐으나 곧 소멸한 바 있다.       김옥채 기자 [email protected]워싱턴 자치권 자치권 취소 트럼프 대통령 트럼프 당선자

2025-02-10

[커뮤니티 액션]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의 약속들

오는 20일 트럼프 당선자가 두 번째로 대통령 취임을 한다. 트럼프는 대규모 서류미비자 추방을 비롯해 반이민 공약으로 표를 긁었지만 다른 공약들도 물론 많이 있다. 주요 내용은 ①개스 값 갤런 당 2달러 미만 ②식료품 가격 인하 ③자동차 보험료 50% 인하 ④집주인들의 렌트 인하 ⑤집값 하락 ⑥3% 이하 이자율 ⑦은퇴연금 세금 면제 ⑧팁 수입 세금 면제 ⑨오버타임 근무 수입 세금 면제 ⑩20만 달러 미만 소득 가정 세금 인하 ⑪1월에 우크라이나 전쟁 종료 ⑫이스라엘-팔레스타인 갈등 해소 등이다.   얼핏 보면 기업과 부유층의 이익을 우선하는 보수 공화당 대통령이 아니라 중산층과 저소득층 복지를 앞세운 진보 대통령 후보의 공약같이 보인다. 다른 정당의 후보가 이런 공약을 내세웠다면 ‘좌파 포퓰리즘’이라고 공화당이 공격했을 만한 내용이다. 트럼프의 공화당은 연방상원과 하원 그리고 보수 판사가 다수인 연방대법원까지 행정, 입법, 사법부를 모두 장악한 채 출발한다. 그래서 위의 공약들을 다른 정치 세력에 가로막혀 못 지킬 까닭이 없다.     트럼프의 반이민, 반소수계, 반여성, 환경 파괴, 인종차별, 백인우월주의 정책들은 반대하지만 위의 공약들은 정말로 지켜주기 바란다. 다만 2017년부터 2020년까지 트럼프 1기 대통령 시절 당시 정책을 보면 큰 기대는 하지 않는다.   트럼프는 1기 재임 시절 저소득층에게 제공하는 푸드스탬프 프로그램을 축소했다. 이에 따라 75만5000여 저소득층 가정에 대한 지원이 끊겼다. 또 오버타임 지급 연봉 기준을 3만5000달러(이전 4만7000달러)로 낮춰 800만 노동자들의 수입이 연간 10억 달러 줄었다. 사상 최대 감세 정책(1조5000억 달러)을 실시했는데 전체 혜택의 절반 이상이 1% 최고 부유층에게 돌아갔다. 기업 법인세를 21%(이전 30%)로, 연 수입 40만 달러 이상 부유층 세율을 37%(이전 39.5%)로 낮췄기 때문이다. 반면 최저 세율은 10%에서 12%로 올려 저소득층이 받는 혜택은 거의 없었다. 2016년 선거 운동 기간 중 트럼프는 자신이 당선되면 사상 최대 감세로 중산층과 저소득층이 큰 혜택을 입을 것이라고 주장했는데 결과는 달랐다. 거짓말이었다.           이처럼 공약과 다른 정책으로 인해 트럼프 대통령의 평균 지지율은 역대 최저였으며 임기 말 추락했고, 결국 2020년 재임에 실패했다. 하지만 4년이 흐른 뒤 유권자 다수가 마치 과거의 기억을 지운 듯 다시 그를 선택했다. 그의 공약을 또 믿는 것일까? 지금도 생생히 기억이 난다. 트럼프 대통령이 감세를 확정한 뒤 플로리다주 자신의 호텔에서 선거자금을 지원했던 억만장자들과 만나 “내가 오늘 당신들에게 수백만 달러를 벌게 해줬다”고 자랑했다는 보도가 나왔다.   정치인들이 공약을 지키지 않는 일은 너무 많아서 새롭지 않다. 하지만 트럼프의 ‘거짓말’ 공약은 지난 2016년 역대 최대 규모였다. 그리고 지난해 선거운동 공약도 이번 임기 중 지키지 않는다면 또다시 역대 기록을 갈아치울 것으로 보인다. 미국의 앞날을 위해 그렇게 되지 않기를 바라지만 불길한 예감을 떨칠 수 없다. 앞으로 4년 단단히 각오해야 한다. 김갑송 / 민권센터·미주한인평화재단 국장커뮤니티 액션 트럼프 대통령 트럼프 당선자 진보 대통령 대통령 취임

2025-01-09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